심리적편향3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Appendix B: Choices, Values, and Frames "Choices, Values, and Frames"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선택하고, 가치를 평가하며, 프레임 효과가 그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이 장에서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보이는 선택을 할 때도 어떻게 비합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선택과 위험사람들은 선택을 할 때 위험 회피(risk aversion)와 위험 추구(risk seeking) 사이에서 결정합니다. 이 과정은 이익(gains)과 손실(losses)의 도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이익 상황: 사람들은 확실한 결과를 선호하며 위험을 회피합니다.손실 상황: 사람들은 위험을 감수하며 손실을 줄이려 합니다.예를 들어, 사람들은 100% 확률로 900달러를 얻는 것보다 90% 확률..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Two Selves: 두 자아 "Two Selves"(두 자아)는 대니얼 카너먼이 인간의 경험과 기억을 탐구하면서 제시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는 인간의 자아를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경험하는 자아(Experiencing Self)와 기억하는 자아(Remembering Self). 이 두 자아는 우리가 삶을 평가하고 선택을 내릴 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용합니다.경험하는 자아와 기억하는 자아경험하는 자아: 현재 순간의 감각과 감정을 직접 경험하며, 즉각적인 반응과 행동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는 동안 느끼는 달콤함과 즐거움은 경험하는 자아의 활동입니다.기억하는 자아: 과거의 경험을 요약하고 저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선택을 내립니다. 기억하는 자아는 사건의 "절정"과 "끝"을 중심으로 경험을 평가하며, ..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Bernoulli’s Errors: 베르누이의 오류 "Bernoulli’s Errors"(베르누이의 오류)는 전통 경제학의 핵심 개념인 기대 효용 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을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베르누이의 모델이 사람들의 실제 선택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참조점(reference point)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베르누이의 이론베르누이는 사람들이 부를 통해 얻는 효용이 절대적인 돈의 금액이 아니라 부의 상대적인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도입했습니다:기대 효용: 부의 증가나 감소가 가져오는 주관적 만족도를 나타냄점감 효용(diminishing utility): 부가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부의 단위가 주는 만족도는 감소예를 들어, 가난한 사람이 .. 2024. 1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