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다문화가구 변화 (2015년 ~ 2023년)
2023년 행정구역별 다문화 가구수 비율
다문화가구 수 상세표
행정구역별(시군구)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전국 | 299,241 | 316,067 | 318,917 | 334,856 | 353,803 | 367,775 | 385,219 | 399,396 | 415,584 |
서울특별시 | 64,013 | 69,054 | 66,618 | 67,790 | 69,738 | 69,790 | 71,337 | 72,949 | 74,514 |
부산광역시 | 12,826 | 12,907 | 13,060 | 13,589 | 14,413 | 15,158 | 15,711 | 16,202 | 16,732 |
대구광역시 | 8,560 | 8,940 | 9,239 | 9,728 | 10,332 | 10,919 | 11,388 | 11,868 | 12,453 |
인천광역시 | 18,394 | 20,279 | 20,641 | 22,276 | 24,084 | 25,449 | 27,075 | 28,657 | 30,406 |
광주광역시 | 6,185 | 6,482 | 6,529 | 6,836 | 7,347 | 7,742 | 8,095 | 8,455 | 8,700 |
대전광역시 | 6,116 | 6,408 | 6,323 | 6,607 | 6,942 | 7,407 | 7,738 | 7,957 | 8,366 |
울산광역시 | 6,076 | 6,344 | 6,397 | 6,558 | 6,867 | 7,079 | 7,268 | 7,402 | 7,625 |
세종특별자치시 | 919 | 1,082 | 1,231 | 1,397 | 1,535 | 1,656 | 1,781 | 1,908 | 1,991 |
경기도 | 84,295 | 91,716 | 92,834 | 99,008 | 105,779 | 110,592 | 117,478 | 122,458 | 127,914 |
강원특별자치도 | 7,304 | 7,312 | 7,495 | 7,915 | 8,431 | 8,934 | 9,402 | 9,841 | 10,397 |
충청북도 | 9,347 | 9,692 | 10,012 | 10,654 | 11,342 | 12,002 | 12,636 | 13,194 | 13,896 |
충청남도 | 14,722 | 15,175 | 15,708 | 16,672 | 17,688 | 18,514 | 19,648 | 20,658 | 21,896 |
전라북도 | 11,292 | 11,239 | 11,492 | 12,103 | 12,554 | 13,207 | 13,661 | 14,056 | 14,693 |
전라남도 | 12,747 | 12,470 | 12,822 | 13,342 | 14,069 | 14,626 | 15,307 | 15,666 | 16,325 |
경상북도 | 14,268 | 14,433 | 14,853 | 15,560 | 16,435 | 17,241 | 18,058 | 18,691 | 19,284 |
경상남도 | 18,238 | 18,575 | 19,387 | 20,135 | 21,175 | 22,044 | 22,906 | 23,476 | 24,228 |
제주특별자치도 | 3,939 | 3,959 | 4,276 | 4,686 | 5,072 | 5,415 | 5,730 | 5,958 | 6,164 |
데이터는 전국 및 주요 시‧도별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통해 연도별 다문화가구 수의 증감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국 다문화가구 수 현황
전국 총 다문화가구 수는 2015년 299,241가구에서 2023년 415,584가구로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연평균 증가율은 약 3.5%로 계산되며, 특히 2018년 이후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2. 주요 시‧도별 분석
2.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는 2015년 64,013가구에서 2023년 74,514가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평균 증가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수도권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2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2015년 12,826가구에서 2023년 16,732가구로 약 30%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이후로 다문화가구 수 증가 속도가 더 빨라졌습니다.
2.3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는 2015년 8,940가구에서 2023년 12,453가구로 꾸준히 성장하였으며, 2018년 이후 가파른 증가를 보였습니다.
2.4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는 2015년 18,394가구에서 2023년 30,406가구로 상당히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연평균 증가율이 약 8%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입니다.
2.5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는 2015년 6,185가구에서 2023년 8,700가구로 비교적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2.6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는 2015년 6,276가구에서 2023년 8,366가구로 성장하였으며, 증가율은 전국 평균 수준과 유사합니다.
2.7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는 2015년 6,076가구에서 2023년 7,625가구로 증가하였으며, 다른 광역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8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5년 1,231가구에서 2023년 1,990가구로 증가하였습니다. 비록 절대 가구 수는 적지만,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입니다.
3. 도 지역 분석
3.1 경기도
경기도는 2015년 84,295가구에서 2023년 127,914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는 경기 지역의 지속적인 개발과 다문화가구 유입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3.2 강원도
강원도는 2015년 7,304가구에서 2023년 10,397가구로 증가하였습니다. 증가율은 전국 평균보다 다소 낮습니다.
3.3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2015년 9,347가구에서 2023년 13,896가구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이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3.4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2015년 14,722가구에서 2023년 21,896가구로 성장하였으며, 수도권 인접 지역으로서 다문화가구 증가 요인이 큽니다.
3.5 전라북도
전라북도는 2015년 11,292가구에서 2023년 14,693가구로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전국 평균을 약간 밑도는 수준입니다.
3.6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015년 12,747가구에서 2023년 16,325가구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3.7 경상북도
경상북도는 2015년 14,268가구에서 2023년 19,284가구로 성장하였으며, 2018년 이후 증가율이 높아졌습니다.
3.8 경상남도
경상남도는 2015년 18,328가구에서 2023년 24,228가구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큰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3.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2015년 3,939가구에서 2023년 6,164가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관광 산업과 연관된 다문화가구 유입 효과로 분석됩니다.
출처: KOSIS
https://link.coupang.com/a/b7TYES
[본사출고] 비에날 굿브레스 1박스 특허받은 구강유산균 + 쇼핑백, 30정, 30g, 1박스 - MCT오일/영양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KOSIS 데이터 분석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2023년 전체 출생아수와 다문화 출생아수 변화 (0) | 2025.01.05 |
---|---|
2000년~2023년 출생아수 | 인구자연증가 | 합계출산율 변화 분석 [출처 : KOSIS] (0) | 2025.01.01 |
남성, 여성 범죄 유형별 범죄 건수 : 성별 범죄 데이터 분석 [2023년 기준] (0) | 2025.01.01 |
2023년 대한민국 인구 분포 [출처: KOSIS] (2) | 2024.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