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 연도별 출생 통계
연도 | 전체 출생아수(명) | 다문화 출생아수(명) | 다문화 출생비중(%) |
---|---|---|---|
2008 | 465,892 | 13,443 | 2.9 |
2009 | 444,849 | 19,024 | 4.3 |
2010 | 470,171 | 20,312 | 4.3 |
2011 | 471,265 | 22,014 | 4.7 |
2012 | 484,550 | 22,908 | 4.7 |
2013 | 436,455 | 21,290 | 4.9 |
2014 | 435,435 | 21,174 | 4.9 |
2015 | 438,420 | 19,729 | 4.5 |
2016 | 406,243 | 19,431 | 4.8 |
2017 | 357,771 | 18,440 | 5.2 |
2018 | 326,822 | 18,079 | 5.5 |
2019 | 302,676 | 17,939 | 5.9 |
2020 | 272,337 | 16,421 | 6.0 |
2021 | 260,562 | 14,322 | 5.5 |
2022 | 249,186 | 12,526 | 5.0 |
2023 | 230,028 | 12,150 | 5.3 |
분석 요약
2008년부터 2023년까지 전체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습니다. 2008년에는 465,892명이었던 전체 출생아수는 2023년 230,028명으로, 약 50%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2017년 이후부터 감소 폭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문화 출생아수는 초반 몇 년 동안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08년 13,443명이었던 다문화 출생아수는 2012년 22,908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023년 다문화 출생아수는 12,15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반면, 다문화 출생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8년 2.9%에서 2023년 5.3%로 두 배 가까이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이 한국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체 출생아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다문화 출생아 비중의 증가는 우리 사회의 변화된 사회 구조를 잘 보여줍니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 출생 비중 증가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가정이 점차 한국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가 보다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사회 통합과 다문화 이해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킬 것입니다.
출생아수 감소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KOSIS
https://link.coupang.com/a/b7TYES
[본사출고] 비에날 굿브레스 1박스 특허받은 구강유산균 + 쇼핑백, 30정, 30g, 1박스 - MCT오일/영양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KOSIS 데이터 분석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2023년 대한민국 다문화가구 수 변화 분석 [출처: KOSIS] (0) | 2025.01.05 |
---|---|
2000년~2023년 출생아수 | 인구자연증가 | 합계출산율 변화 분석 [출처 : KOSIS] (0) | 2025.01.01 |
남성, 여성 범죄 유형별 범죄 건수 : 성별 범죄 데이터 분석 [2023년 기준] (0) | 2025.01.01 |
2023년 대한민국 인구 분포 [출처: KOSIS] (2) | 2024.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