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zy Controller"는 인간 사고의 본질에서 나타나는 노력 회피 성향을 중심으로, System 2의 작동 방식과 한계를 탐구합니다. System 2는 느리고 의식적인 사고를 담당하지만,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성향 때문에 "게으른 통제자"라고 불립니다.
System 2의 주요 역할
System 2는 의식적인 통제와 자기조절을 통해 System 1이 제안하는 직관적 판단을 점검하고 수정합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감정적 충동을 억제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우리의 삶에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그러나 System 2는 노력과 자원을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항상 활성화되지 않으며, 종종 직관에 의존하려는 System 1에 길을 내줍니다.
게으른 System 2와 판단 오류
System 2의 게으름은 종종 표면적으로 그럴듯해 보이는 답을 쉽게 받아들이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문제를 깊이 고민하기보다는, 첫 번째로 떠오르는 직관적 답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는 즉각적인 편의를 제공하지만, 때로는 심각한 판단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 키스 스태노비치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합리성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게으른 System 2"는 직관적 판단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소홀히 하며,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만듭니다.
System 1과의 상호작용
System 2는 System 1과 협력하여 우리가 내리는 대부분의 결정을 도와줍니다. 그러나 System 2가 충분히 작동하지 않을 때, System 1이 주도권을 잡고 더 간단하지만 덜 정확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는 에너지 절약이라는 뇌의 본능적인 성향에서 비롯됩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Norms, Surprises, and Causes: 규범, 놀라움, 그리고 원인 (0) | 2024.12.20 |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Cognitive Ease: 인지적 용이성의 심리적 작동 원리 (0) | 2024.12.20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The Associative Machine: 연상 기계의 놀라운 작동 방식 (0) | 2024.12.20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Attention and Effort: 우리의 인지적 한계 이해하기 (2) | 2024.12.20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System 1, System 2 (2) | 2024.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