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에 관한 생각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Linda: Less is More

by 몰몰알몰 2024. 12. 20.
반응형

"Linda: Less is More"는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논리적 사고보다 대표성 휴리스틱(Representativeness Heuristic)에 의존하는 경향을 탐구한 실험적 사례입니다. 이 장은 연결 오류(conjunction fallacy)라는 현상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어떤 사건이 더 구체적이고 대표적으로 보일수록 더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 심리적 편향을 다룹니다.

Linda 문제

Linda는 다음과 같이 묘사됩니다:

  • 31세이며, 독신이고, 매우 똑똑하며, 철학을 전공했다.
  • 학생 시절에는 차별과 사회 정의 문제에 깊이 관여했고, 반핵 시위에 참여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Linda의 직업이나 활동에 대한 몇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가능성의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했습니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Linda는 은행원이다.
  • Linda는 은행원이면서 페미니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Linda는 은행원이면서 페미니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를 더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두 사건의 교집합이 하나의 사건보다 항상 가능성이 낮다는 확률적 논리를 무시한 결과입니다​: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대표성 휴리스틱의 작용

Linda의 문제에서 사람들은 그녀의 성격 묘사와 "페미니즘 운동가"라는 전형(stereotype)의 유사성에 기반해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정보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지만, 논리적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도 높습니다.

논리와 직관의 갈등

Linda 문제는 System 1(직관적 사고)과 System 2(분석적 사고)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대표성에 기반한 판단을 내렸지만, System 2가 개입하여 논리적 검토를 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상황에서 얼마나 쉽게 논리적 오류를 범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