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fe as a Story"(삶을 이야기로서)는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기억하고, 그 기억이 의사결정과 행복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우리가 경험하는 '삶'과 그것을 '기억하는 방식' 사이의 차이를 논의하며, 특히 기억하는 자아(remembering self)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야기의 구조와 기억
사람들은 삶의 사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절정-종결 규칙(Peak-End Rule): 한 사건에서 가장 강렬한 순간과 끝맺음이 기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기간 무시(Duration Neglect): 경험의 총 지속 시간은 평가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긴 휴가를 보내며 중간에 멋진 풍경을 감상하거나 기억에 남는 사건을 겪었다면, 그 사건이 휴가 전체를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삶의 이야기를 만들기 위한 노력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긍정적이고 일관된 이야기로 구성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행동이 나타납니다:
- 좋은 기억을 만들기 위해 순간을 설계
- 삶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보 선택
- 삶의 종결이 긍정적이기를 바람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사진을 찍거나 여행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는 이유는 더 좋은 '기억'을 남기기 위해서입니다.
삶을 이야기로 보는 것의 장단점
삶을 이야기로 바라보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삶의 의미를 구성하고, 어려운 순간을 극복할 힘을 줌
-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며, 공감을 유발
그러나, 이 접근에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 현재의 경험보다 과거에 집착하게 될 위험
-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기억이 형성될 가능성
반응형
'생각에 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Thinking About Life (1) | 2024.12.22 |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Two Selves: 두 자아 (0) | 2024.12.22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Frames and Reality: 프레임과 현실 (2) | 2024.12.22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Keeping Score & Reversals (0) | 2024.12.22 |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Keeping Score: 점수 매기기 (2) | 2024.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