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심리학3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Frames and Reality: 프레임과 현실 "Frames and Reality"(프레임과 현실)은 사람들이 선택과 판단을 내릴 때, 선택지의 표현 방식(프레임)이 실제로는 동일한 선택지를 다르게 인식하게 만드는 현상을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프레임 효과가 우리의 선택이 실제 결과가 아닌 제시된 방식에 의해 좌우되는 심리적 편향임을 보여줍니다.프레임 효과의 본질프레임 효과는 동일한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두 문장은 논리적으로 동일하지만 심리적으로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탈리아가 승리했다.""프랑스가 패배했다."이와 같은 언어적 차이는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며, 이는 System 1(직관적 사고)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인간은 논리적 일관성보다..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Keeping Score & Reversals "Keeping Score"(점수 매기기)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자신의 성과와 손익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사람들이 종종 자신만의 "정신 계좌"(mental accounts)를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내린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인간의 행동과 선택이 단순한 합리적 계산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정신 계좌의 역할각 상황이나 목표를 별개의 계좌로 관리손실보다 이익에 민감하게 반응결과를 정리하여 "이겼다"거나 "졌다"고 간단히 평가예를 들어, 골퍼들이 보기를 피하려고 할 때 버디를 시도할 때보다 더 성공적으로 퍼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손실을 피하려는 강한 욕구가 행동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보여줍니다.Reversals"Reversals"(역전 현상)은 사람들이 두 ..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Bernoulli’s Errors: 베르누이의 오류 "Bernoulli’s Errors"(베르누이의 오류)는 전통 경제학의 핵심 개념인 기대 효용 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을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베르누이의 모델이 사람들의 실제 선택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참조점(reference point)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베르누이의 이론베르누이는 사람들이 부를 통해 얻는 효용이 절대적인 돈의 금액이 아니라 부의 상대적인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도입했습니다:기대 효용: 부의 증가나 감소가 가져오는 주관적 만족도를 나타냄점감 효용(diminishing utility): 부가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부의 단위가 주는 만족도는 감소예를 들어, 가난한 사람이 .. 2024. 1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