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에 관한 생각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Overconfidence: 과잉 확신

by 몰몰알몰 2024. 12. 21.
반응형

*Part III: Overconfidence*(과잉 확신)는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 지식, 그리고 예측 정확도를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탐구합니다. 이 파트는 과잉 확신이 다양한 전문 분야와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며, 그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과잉 확신의 특징

과잉 확신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믿는 것과 실제로 알고 있는 것 사이의 괴리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 미래를 예측할 때 운의 역할을 과소평가
  • 실패보다 성공 사례에 집중하여 지나치게 단순화된 이야기를 만듦
  • 확신도가 높을수록 정확성이 높다는 잘못된 믿음

과잉 확신은 특히 전문가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며, 이는 그들이 더 높은 신뢰도를 얻으려는 사회적 압력 때문입니다.

대표 사례

과잉 확신은 금융 시장, 의료,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찰됩니다:

  • 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은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예측할 때, 그들의 예측이 무의미할 정도로 정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 의료: 의사들은 자신들의 진단 정확도를 과대평가하며, 이는 환자 치료에서 중요한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기업 경영: 경영자들은 경쟁 상황을 과소평가하고 자신들의 사업 성공 가능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잉 확신의 심리적 기원

과잉 확신은 System 1(직관적 사고)의 산물로, 빠르고 간단한 이야기와 일관성 있는 패턴을 선호하는 경향에서 비롯됩니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과잉 확신에 빠집니다:

  • 과거 성공 사례의 지나친 일반화
  • 정보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내러티브의 일관성에 기반한 확신
  • WYSIATI(보이는 것이 전부다) 원칙에 따른 단순화된 사고

과잉 확신을 다루는 방법

과잉 확신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
  • 기존 데이터와 통계적 분석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림
  • 결정 전에 '사후 분석(Premortem)'을 통해 잠재적 실패를 상상하고 대비

그러나, 과잉 확신은 인간 사고의 본질적인 특성 중 하나이므로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