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0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Two Selves: 두 자아 "Two Selves"(두 자아)는 대니얼 카너먼이 인간의 경험과 기억을 탐구하면서 제시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는 인간의 자아를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경험하는 자아(Experiencing Self)와 기억하는 자아(Remembering Self). 이 두 자아는 우리가 삶을 평가하고 선택을 내릴 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용합니다.경험하는 자아와 기억하는 자아경험하는 자아: 현재 순간의 감각과 감정을 직접 경험하며, 즉각적인 반응과 행동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는 동안 느끼는 달콤함과 즐거움은 경험하는 자아의 활동입니다.기억하는 자아: 과거의 경험을 요약하고 저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선택을 내립니다. 기억하는 자아는 사건의 "절정"과 "끝"을 중심으로 경험을 평가하며, ..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Life as a Story "Life as a Story"(삶을 이야기로서)는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기억하고, 그 기억이 의사결정과 행복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우리가 경험하는 '삶'과 그것을 '기억하는 방식' 사이의 차이를 논의하며, 특히 기억하는 자아(remembering self)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이야기의 구조와 기억사람들은 삶의 사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절정-종결 규칙(Peak-End Rule): 한 사건에서 가장 강렬한 순간과 끝맺음이 기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기간 무시(Duration Neglect): 경험의 총 지속 시간은 평가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예를 들어, 한 사람이 긴 휴가를 보내며 중간에 ..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Frames and Reality: 프레임과 현실 "Frames and Reality"(프레임과 현실)은 사람들이 선택과 판단을 내릴 때, 선택지의 표현 방식(프레임)이 실제로는 동일한 선택지를 다르게 인식하게 만드는 현상을 탐구합니다.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프레임 효과가 우리의 선택이 실제 결과가 아닌 제시된 방식에 의해 좌우되는 심리적 편향임을 보여줍니다.프레임 효과의 본질프레임 효과는 동일한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두 문장은 논리적으로 동일하지만 심리적으로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탈리아가 승리했다.""프랑스가 패배했다."이와 같은 언어적 차이는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며, 이는 System 1(직관적 사고)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인간은 논리적 일관성보다.. 2024. 12. 22.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 Keeping Score & Reversals "Keeping Score"(점수 매기기)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자신의 성과와 손익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사람들이 종종 자신만의 "정신 계좌"(mental accounts)를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내린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인간의 행동과 선택이 단순한 합리적 계산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정신 계좌의 역할각 상황이나 목표를 별개의 계좌로 관리손실보다 이익에 민감하게 반응결과를 정리하여 "이겼다"거나 "졌다"고 간단히 평가예를 들어, 골퍼들이 보기를 피하려고 할 때 버디를 시도할 때보다 더 성공적으로 퍼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손실을 피하려는 강한 욕구가 행동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보여줍니다.Reversals"Reversals"(역전 현상)은 사람들이 두 .. 2024. 12. 22.